1. JSON의 등장 배경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2000년대 초반, 웹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복잡해지고 데이터 교환이 중요해지면서 등장했습니다. 당시 XML이 데이터 교환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XML은 문법이 복잡하고 사람이 읽고 쓰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데이터 교환 형식이 필요해졌고, JSON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2. JSON의 정의

JSON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경량 데이터 포맷입니다.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언어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됩니다. JSON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키-값 쌍: 데이터는 키(key)와 값(value)으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 간결함: 사람이 읽기 쉽고 쓰기 쉬운 문법을 가집니다.
  • 데이터 구조 표현: 객체(object), 배열(array), 문자열(string), 숫자(number), 불리언(boolean), null과 같은 데이터 유형을 지원합니다.

예시:

{
  "name": "John",
  "age": 30,
  "isStudent": false,
  "skills": ["JavaScript", "Python"],
  "address": {
    "city": "New York",
    "zipcode": "10001"
  }
}

3. JSON의 실 사용 예시

  • 웹 API: RESTful API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status": "success",
      "data": {
        "id": 123,
        "name": "Alice"
      }
    }
    
  • 설정 파일: JSON은 간단한 설정 파일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예: package.json)

  • 데이터베이스: MongoDB 같은 NoSQL 데이터베이스에서 JSON 형식을 기본 데이터 저장 구조로 채택합니다.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 통신: JSON은 AJAX, Fetch API 등을 활용해 실시간 데이터 교환에 쓰입니다.

4. JSON과 CSV/XLS의 차이

항목 JSON CSV XLS(XLSX)
구조 계층적(중첩 가능) 단일 행(row)과 열(column) 기반 셀(cell) 기반, 다양한 시트(sheet) 지원
가독성 사람이 읽고 쓰기 쉬움 간단하지만 복잡한 데이터 표현에 부적합 사람이 읽기에 어렵거나 제한적
데이터 유형 객체, 배열, 문자열, 숫자 등 문자열 형태의 단순 데이터 다양한 데이터 형식 지원
유연성 복잡한 데이터 구조 표현 가능 정형화된 표 형식 그래프, 수식 등 다양한 데이터 표현 가능
사용 사례 웹 개발, API 데이터 분석, 간단한 데이터 교환 비즈니스 리포트, 복잡한 데이터 관리

5. 결론

JSON은 간결하고, 유연하며, 사람이 읽기 쉬운 데이터 포맷으로, 특히 웹 개발 환경에서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XML에 비해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CSV와 XLS와 비교했을 때 계층적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JSON의 등장으로 인해 데이터 교환과 저장 방식이 한층 발전하였고, 이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