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같은 OTT가 유행하고 있다.
다양한 위치에서 OTT 사이트와 앱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공유되는 동영상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CDN -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 전 세계적으로 웹 컨텐츠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CDN은 여러 대의 서버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이 서버들은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웹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및 기타 미디어 컨텐츠를 더 빠르게 로드할 수 있고, 웹 사이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폰을 구매하기 위해서 미국을 가는 것은 어렵고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아이폰을 대리점에 미리 배포해 놓음으로써 소비자는 가까운 대리점 방문으로 즉시 아이폰을 얻을 수 있다.
넷플릭스의 CDN
대표적인 OTT인 넷플릭스는 CDN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넷플릭스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개의 CDN 제공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사용자가 넷플릭스에서 영상을 시청할 때, 해당 영상은 CDN의 서버 중 하나에서 제공한다. 이 서버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빠른 속도로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한 넷플릭스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오픈커넥트(Open Connect)라는 CDN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넷플릭스의 독점 컨텐츠와 파트너사 컨텐츠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며, 자체적으로 서버를 설치하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데이터 센터 내에 배치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컨텐츠 제공을 실현한다.
이러한 CDN 전략을 통해 넷플릭스는 대규모의 트래픽을 처리하고 사용자들에게 최상의 시청 경험을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CDN의 장단점
장점
-
빠른 성능
-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제공하여 빠른 성능을 제공하여 웹 페이지의 로딩 시간을 단축하고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의 끊김 없는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
전 세계적으로 일관된 성능
- 전 세계 여러 지역에 서버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상관없이 동일한 성능으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
고가용성과 신뢰성
- 다중 서버 구성을 통해 한 서버가 다운될 경우에도 다른 서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여 서비스의 고가용성과 신뢰성을 유지한다.
단점
-
비용
- 일부 CDN 서비스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트래픽이 많은 경우 비용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
복잡성
- CDN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초기에는 복잡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트래픽이 있는 경우, 컨텐츠를 적절하게 분산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